조회 수 694 댓글 5
시어머니가 며느리를 나무라면
젖 빨던 아이가 그 자리에서 생 똥을 싼다.
실화다.


아이의 수유를 위해 아무리 대 자연의
정기담긴 음식을 정성 다해 먹는다 해도
사람들과 불화하면 젖 먹는 아이가 먹은 것은
엄마 사랑 아닌 엄마의 홧독이다.


수유기에 시름시름 앓는 아이, 잘 자라지 못하는
아이가 있다면 그 가족 관계를 살펴보라.
느닷없이 아기에게 병변이 왔다면 틀림없이
부부 싸움이나 고부간의 갈등에 한 원인이 있음이다.
면박을 받아서 서글픈 여인은 그냥 훌쩍훌쩍 울면서
돌아 앉아 아기에게 젖을 물린다.
그 순간, 아기 밖에는 자신이
기댈 곳이 없었기 때문이다.


정상의 피는 그 맛이 대략 달고 짭짤하다.
그러나 애(오장육부)를 태우거나 화가 나면
홧김에 의해 쓰고 떫으며 흑갈색을 띤 강한 산성의
피로 변해 버린다. 피는 생명이다.
그러면 산성을 좋아하는 호산세균들이 혈액 안에
급속히 팽창하게 된다.
그것들이 인체 중에서 가장 방비가 허술한 부위로
몰려들어 암 등을 유발시키는 것이다.


독일에서 인간이 내는 화에 대해 실험을 했는데
그 결과는 매우 섬뜩하였다.
극도로 화가 났을 때 입에서 나오는 공기,
그러니까 홧김을 비닐에 받아 농축 시켜 보니
5cc의 노란 액체가 모였다.
이 액체의 0.5cc를 돼지에게 주사했더니
돼지가 비명을 지르며 그만 즉사 해 버리더란 것이다.
이 얼마나 무서운 얘기인가?


홧김을 호박이나 오이같은
넝쿨의 생장점에 대고 불면
생장점은 하루도 못가 이내 시들어 버린다.


또 홧김은 공기를 금방 독성화시킨다.
우리 속담에 '"장맛이 나쁘면 집안이 기운다"라는
말이 있는데, 메주를 담가서 새끼줄로 엮어
벽이나 천장에 걸어두는데
그러면 집안의 온갖 미생물이
메주에 달라붙어 그것을 발효시키는 것이다.


그런데 그 집안에서 가족간에 다툼이 잦다면
그 다툼의 홧김에 의해 메주 균이 죽게 된다.
그래서 메주가 꺼멓게 되고
결국 장맛이 고약해진다.


이렇듯 무서운 것이 홧김인데, 잔뜩 화를 품고서 아기나
사람을 대하면 어찌 될까?
싸움이 잦은 집에서 사는 아이들이 끊임없이
온몸에 부스럼과 종기를 달고 사는 것은 그 이유다.
노여운 기운은 항상 그 죄없는
아이들의 혈관 속을 흐른다.


화를 내는 사람을 보면 얼굴이
새파래지거나 새하얗게 변하며
비정상적인 사고와 흐린 판단력이
찰나를 지배하는 것이어서
느닷없이 휘발유를 끼얹고 방화를 하거나
기물을 닥치는 대로 부숴 버린다.


즉, 일순 미쳐 있는 것이다.
잠시 후, 화가 풀려 다시 제자리로 돌아와서 그렇지
그 순간은 분명 미친것이다.
짧은 순간 그는 정신병자가 됐던 것이다.

또, 그의 육체는 그 순간 식욕이 정지되며
피는 거꾸로 순행하고
명치 끝이 바짝 긴장되며
간은 강한 타격으로 극심하게 발작하는 것이다.


잠시 후, 화가 풀려 다시 제자리로
돌아와서 그렇지 그 찰나에
중병환자가
된 것이었다. 그 짧은 순간
그의 몸은 사경에 놓여 있었던 것이다.


이렇듯 노여움과 증오,
화는 그 사람의 정신과 몸에
심한 타격을 입히며
그 앞에 서서 꼼짝없이 분풀이
당하는 사람의 정신과 몸에
치명적인 상해를 입히는 것이다.


사람은 빵만으로 사는 게 아니라,
서로간의 사랑과 극진한 보살핌에
힘 얻어 사는 것이다.
그렇게 살아가라고 빵이 주어지는 것이다.
그 "씨알" 안에 "인의예지신"의
바른 품성 키울 재료가 들어 있다.
하늘 사랑이다.
사랑은 보이지 않는 빛이다.


보이는 빛은 몸을 치료하고,
보이지 않는 빛은 마음을 돕는
치료 광선이 된다.
빛은 진리다. 빛 앞에 어둠은 소멸한다.


빛의 힘으로 사람은 살기에, 원래
사람은 빛의 자녀다.
곧 사람은 육체를 지닌 빛이다.
광명하여 만물을 살려야 하는 존재다.
칠흑 같은 밤 하늘의 별이다.
어둔 세상에 "원래 태양" 반사할 스타이다.

"화"는 도대체 왜 나는 것일까?


간단하다.
상대방의 생각이 내 마음의
기대와 다르다는 이유에서이다.
즉, 내가 기대한 욕망이 채워지지 않았기 때문에
내 속에서 화가 끓어 오른 것이다.


그 때 벽력같은 소리를 지르지 않으면
간에서 피가 솟구쳐
피를 토하게 된다.
그것을 방지하기 위해 소리를 지른 것이다.
"화'"는 내 욕망의 좌절에서 기인 한다.


또, "'화"를 분석해 보면
"화'"의 원인은 이미 지난 일이다.


예를 들어 아이가 집안에서
무언가 큰 잘못을 했다 치자.
그러니 잘못한 시점은 이미 지난 과거지사이다.
아버지가 그 사실을 알게 된 것은 지금이다.
즉 현재다.


이미 지나간 과거의 일을,
현재 파악하여 화를 터트린 것이다.
그러니 "화'를 터트린 시점은 잘못한
과거에 대하여 미래가 된다.
이런 미친 짓이 어디 있는가?
과거의 일 때문에 미래를 향해
화를 내고 있었다니!
과거의 잘못은 지나간
것이라 하여 과오(過誤)라 한다.
과거의 것은 "용서라는 큰 바다"에
던지지 않고서는 없어지지 않는다.


자애는 무서운 교훈이다.

용서라는 턱 없이 큰 포용함에
한 없이 뉘우치고 재범(再犯)하지 않는다.
담장 높은 교도소의 형벌은 거듭 전과 2범,
전과 3범 더 큰 죄수를 만들고,
품어 주는 자비는 새로 거듭 난 삶을 살게 한다.






# 다 읽으시고도 다음에 화를 내신다면,
화를 참으면 병이 된다고 생각하시면
자신에게는 위로가 되겠으나, 상대를 불태웠을
것임을 반드시 생각하시기 바랍니다.



  • 김상준 2010.06.18 13:07
    이렇게 화가 무서운 병의 근원인가 봅니다. 정말 대단 하군요 인간의 노여움이란게???웃으면서 화내지 말고 살아야 하겠습니다.
  • 김강덕 2010.06.18 16:22
    정말 무섭습니다.^^ 저도 욱하는게 자주 있는데...^^ 과거에 연연하지 말고 두리뭉실 웃으며 지내는게 제일 좋죠..^^
  • 신효섭 2010.06.18 22:15
    옛날 과거시험 있었으면 우리 모임에서 장원급제 많이 나오셨을 것 같네요. 잘 새겨두겠습니다. 전설의 주계병 선배님.
  • 임성혁 2010.06.19 12:13
    잘 읽었습니다. 앞으로 전설의 주계님도 일주일에 2회이상 글을쓰시요. 고참의 부탁이요.ㅎㅎㅎㅎㅎㅎㅎㅎㅎ
  • 석창현 2010.06.19 16:19
    감사히 가슴에 담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023 [3월 이벤트 경기 안내] 1 경기위원장/이선해(600) 2017.03.08 1024
2022 제주 상륙작전 회장/김상준(398) 2017.02.10 679
2021 년회비 납부 협조 2 회장/김상준(398) 2017.01.26 920
2020 필승! 감사인사드립니다. 2 윤재일(해병511) 2016.04.20 922
2019 서울 수복 기념 대회 사진, 밴드에 올렸습니다. 경기차장/이선해(600) 2015.10.22 1205
2018 인천상륙작전 기념 골프대회 서경조(189) 2015.10.20 1191
2017 (10월 )해병대 9.28서울 수복기념 전국골프대회 행동강령! 1 사무국장/오충균(413) 2015.10.06 1433
2016 추석 한가위 행복하게 보내십시요^ 사무국장/오충균(413) 2015.09.25 1311
2015 6월 전투준비 행동요령! 사무국장/오충균(413) 2015.06.13 1196
2014 415행사를 준비하며 3 회장/홍국종(329) 2015.04.15 1153
2013 4.15 전투대비 보급품 분실자 자진신고처 15 사무국장/오충균(413) 2015.03.30 1444
2012 12월 체력단련대회및 송년회 공지! 사무국장/오충균(413) 2014.11.22 1543
2011 9.28행사를 마감하며 / 15대 집행부 추천^ 4 사무국장/오충균(413) 2014.10.17 1428
2010 카운트다운 D-10 일전^ 사무국장/오충균(413) 2014.10.05 1118
2009 928행사장 입장시 복장 안내^ 사무국장/오충균(413) 2014.09.26 1394
2008 보급품 분실자 신고처! 4 사무국장/오충균(413) 2014.09.22 1052
2007 (해병대 928 서울수복 기념대회) 작전명 공모! 1 사무국장/오충균(413) 2014.09.19 1525
2006 10월(해병대 928 서울수복 기념대회 )안내! 사무국장/오충균(413) 2014.09.19 1353
2005 9月 체력단련대회 안내 4 사무국장/오충균(413) 2014.08.24 1569
2004 8월 체력단련대회 참가자 준수사항! 사무국장/오충균(413) 2014.08.18 1572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102 Next
/ 102
CL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