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회 수 637 댓글 0













 


 















 


 



◈ 어머니 여한가(餘恨歌) ◈




- 옛 어머니들의 시집살이, 자식 거두기,질박한 삶을 노래한 글과 사진입니다. 꾸민 이야기가 아닌 순박한 삶의 표현입니다.마치 종처럼, 머슴처럼 산 기록을 이 글로 대신 체험해 보세요. 세상을 보는 눈이 달라집니다. 옛 어머니의 생각에 눈믈이 납니다 - 쇠락하는 양반댁의 맏딸로 태어나서반듯하고 조순하게 가풍을 익혔는데일도 많은 종갓집 맏며느리 낙인 찍혀 열 여덟 살 꽃다울제 숙명처럼 혼인하여두 세 살씩 터울 두고 일곱 남매 기르느라철 지나고 해 가는 줄 모르는 채 살았구나! 봄 여름에 누에치고, 목화 따서 길쌈하고콩을 갈아 두부 쑤고, 메주 띄워 장 담그고땡감 따서 곶감 치고, 배추 절여 김장하고 호박 고지 무 말랭이 넉넉하게 말려두고어포 육포 유밀과 과일주에 조청까지정갈하게 갈무리해 다락 높이 간직하네. 찹쌀 쪄서 술 담그어 노릇하게 익어지면용수 박아 제일 먼저 제주부터 봉해두고시아버님 반주꺼리 맑은 술로 떠낸 다음 청수 붓고 휘휘 저어 막걸리로 걸러내서들일하는 일꾼네들 새참으로 내보내고나머지는 시루 걸고 소주 내려 묻어두네. 피난 나온 권속들이 스무 명은 족한데더부살이 종년처럼 부엌 살림 도맡아서보리쌀 절구질해 연기로 삶아 건져 밥 짓고 국도 끓여 두 번 세 번 차려내고늦은 저녁 설거지를 더듬더듬 끝마치면몸뚱이는 젖은 풀솜 천 근처럼 무거웠네 동지 섣달 긴긴 밤에 물레 돌려 실을 뽑아날줄을 갈라 늘여 베틀 위에 걸어 놓고눈물 한 숨 졸음 섞어 씨줄을 다져 넣어 한 치 두 치 늘어나서 무명 한 필 말아지면백설같이 희어지게 잿물 내려 삶아내서햇볕에 바래기를 열두 번은 족히 되리 하품 한 번 마음 놓고 토해보지 못한 신세 졸고있는 등잔불에 바늘귀를 겨우 꿰어무거운 눈 올려 뜨고 한 뜸 두 뜸 꿰매다가 매정스런 바늘 끝이 손톱 밑을 파고들면 졸음일랑 혼비백산 간데 없이 사라지고손끝에선 검붉은 피 몽글몽글 솟아난다. 내 자식들 헤진 옷은 대강해도 좋으련만점잖으신 시아버님 의복 수발 어찌 할꼬?탐탁잖은 솜씨라서 걱정부터 앞서고 공들여서 마름질해 정성스레 꿰맸어도안목 높고 까다로운 시어머니 눈에 안 차맵고 매운 시집살이 쓴맛까지 더했다네 침침해진 눈을 들어 방안을 둘러보면아랫목서 윗목까지 자식들이 하나 가득차 내버린 이불깃을 다독다독 여며주고 막내 녀석 세워 안아 놋쇠 요강 들이대고어르고 달래면서 어렵사리 쉬 시키면일할 엄두 사라지고 한숨이 절로 난다 학식 높고 점잖으신 시아버님 사랑방에사시사철 끊임없는 접빈객도 힘겨운데사대 봉사 제사는 여나무 번 족히 되고 정월 한식 단오 추석 차례상도 만만찮네식구들은 많다해도 거들 사람 하나 없고여자라곤 상전 같은 시어머니 뿐이로다 고추 당추 맵다해도 시집살이 더 매워라.큰 아들이 장가들면 이 고생을 면할 건가?무정스런 세월가면 이 신세가 나아질까? 이 내 몸이 죽어져야 이 고생이 끝나려나?그러고도 남는 고생 저승까지 가려는가?어찌하여 인생길이 이다지도 고단한가? 토끼 같던 자식들은 귀여워할 새도 없이어느 틈에 자랐는지 짝을 채워 살림나고산비둘기 한 쌍 같이 영감하고 둘만 남아 가려운데 긁어주며 오순도순 사는 것이지지리도 복이 없는 내 마지막 소원인데마음 고생 팔자라서 그마저도 쉽지 않네 안채 별채 육간 대청 휑하니 넓은 집에가믄 날에 콩 나듯이 찾아오는 손주 녀석어렸을 적 애비 모습 그린 듯이 닮았는데 식성만은 입이 짧은 제 어미를 탁했는지곶감 대추 유과 정과 수정과도 마다하고정 주어볼 틈도 없이 손님처럼 돌아가네 명절이나 큰 일 때 객지 사는 자식들이어린 것들 앞 세우고 하나 둘씩 모여들면절간 같던 집안에서 웃음 꽃이 살아나고 하루 이틀 묵었다가 제 집으로 돌아갈 땐푸성귀에 마른 나물, 간장, 된장, 양념까지있는 대로 퍼 주어도 더 못 주어 한이로다 손톱 발톱 길 새 없이 자식들을 거둔 것이허리 굽고 늙어지면 효도 보려한 거드냐?속절없는 내 한평생 영화 보려한 거드냐? 꿈에라도 그런 것은 상상조차 아니 했고, 고목 나무 껍질 같은 두 손 모아 비는 것이내 신세는 접어두고 자식 걱정 때문일세. 회갑 진갑 다 지나고 고희마저 눈앞이라북망산에 묻힐 채비 늦기 전에 해두려고때깔 좋은 안동포를 넉넉하게 끊어다가 윤달 든 해 손 없는 날 대청 위에 펼쳐 놓고도포 원삼 과두 장매 상두꾼들 행전까지두 늙은이 수의 일습 내 손으로 지었네 무정한 게 세월이라 어느 틈에 칠순 팔순눈 어둡고 귀 어두워 거동조차 불편하네홍안이던 큰 자식은 중늙은이 되어 가고 까탈스런 영감은 자식조차 꺼리는데내가 먼저 죽고 나면 그 수발을 누가 들꼬?제발 덕분 비는 것은 내가 오래 사는 거라 내 살 같은 자식들아 나 죽거든 울지 마라!인생이란 허무한 것 이렇게 늙는 것을낙이라곤 모르고서 한평생을 살았구나!~옮긴글 ~</PRE>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023 [3월 이벤트 경기 안내] 1 경기위원장/이선해(600) 2017.03.08 1002
2022 제주 상륙작전 회장/김상준(398) 2017.02.10 662
2021 년회비 납부 협조 2 회장/김상준(398) 2017.01.26 656
2020 필승! 감사인사드립니다. 2 윤재일(해병511) 2016.04.20 906
2019 서울 수복 기념 대회 사진, 밴드에 올렸습니다. 경기차장/이선해(600) 2015.10.22 1190
2018 인천상륙작전 기념 골프대회 서경조(189) 2015.10.20 1174
2017 (10월 )해병대 9.28서울 수복기념 전국골프대회 행동강령! 1 사무국장/오충균(413) 2015.10.06 1290
2016 추석 한가위 행복하게 보내십시요^ 사무국장/오충균(413) 2015.09.25 1020
2015 6월 전투준비 행동요령! 사무국장/오충균(413) 2015.06.13 1178
2014 415행사를 준비하며 3 회장/홍국종(329) 2015.04.15 1131
2013 4.15 전투대비 보급품 분실자 자진신고처 15 사무국장/오충균(413) 2015.03.30 1177
2012 12월 체력단련대회및 송년회 공지! 사무국장/오충균(413) 2014.11.22 1514
2011 9.28행사를 마감하며 / 15대 집행부 추천^ 4 사무국장/오충균(413) 2014.10.17 1338
2010 카운트다운 D-10 일전^ 사무국장/오충균(413) 2014.10.05 1098
2009 928행사장 입장시 복장 안내^ 사무국장/오충균(413) 2014.09.26 1318
2008 보급품 분실자 신고처! 4 사무국장/오충균(413) 2014.09.22 992
2007 (해병대 928 서울수복 기념대회) 작전명 공모! 1 사무국장/오충균(413) 2014.09.19 1234
2006 10월(해병대 928 서울수복 기념대회 )안내! 사무국장/오충균(413) 2014.09.19 1336
2005 9月 체력단련대회 안내 4 사무국장/오충균(413) 2014.08.24 1282
2004 8월 체력단련대회 참가자 준수사항! 사무국장/오충균(413) 2014.08.18 1525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102 Next
/ 102
CLOSE